성인학습, 심리·사회적 특성에 따른 맞춤형 접근 필요

0
10

성인학습자는 학습 참여 동기와 태도에서 다양한 심리·사회적 특성을 보인다. 이에 따라 효과적인 교육을 위해서는 성인학습의 원리를 이해하고, 맞춤형 학습 환경을 조성하는 접근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연구에 따르면 성인학습자는 ▲무목표형 ▲사교적 학습형 ▲자극 탐구형 ▲직업지향형 ▲생활 변혁지향형 ▲거부형 등으로 구분된다. 무목표형 학습자는 학습 목적이 불분명하고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는 반면, 사교적 학습형은 학습 그 자체보다 동료와의 교류를 중요하게 여긴다. 자극 탐구형은 일상에 변화를 주기 위한 학습을 추구하며, 직업지향형은 업무 성과와 직접 연결되는 학습에 몰입한다. 생활 변혁지향형은 자기발전과 생활 향상을 목표로 하며, 거부형은 학습에 부정적 태도를 보인다.

또한 성인학습은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 형성과도 밀접하다. 학습자는 단순한 지식 습득을 넘어, 동료 학습자와의 신뢰·네트워크·규범을 통해 사회적 관계망을 확장한다. 실제로 대학 최고경영자 과정이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가 사회적 자본 축적의 수단이 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특성에 대응하기 위해 성인학습 원리를 제시한다. 대표적으로 ▲자발적 학습 ▲자기주도적 학습 ▲상호학습 ▲생활적응 학습이 그것이다. 성인은 강제보다 스스로의 의지와 필요에 따라 학습하며, 경험을 공유하고 서로 배우는 과정을 통해 학습 효과를 높인다. 특히 생활과 직결된 과제 해결 중심의 학습이 강조된다.

이 같은 접근은 필라테스와 같은 건강·피트니스 교육에도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직업지향형 학습자는 지도자 자격 취득이나 전문 역량 향상에 집중하며, 생활 변혁지향형 학습자는 신체 건강과 생활 습관 개선을 목표로 한다. 사교적 학습형은 그룹 레슨을 통해 동료와 교류하며 동기부여를 얻는다. 따라서 지도자는 성인의 다양한 특성을 반영해 교육 과정을 설계하고, 학습자가 자기 삶과 직접 연결된 변화를 경험하도록 돕는 것이 중요하다.

세종=리브베럴포스트 │ 김기태 기자

회신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