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학습 모형, 경험 중심에서 사회적 맥락으로 확장

0
22

성인학습은 단순한 지식전달이 아닌, 경험과 사회적 관계 속에서 의미를 재구성하는 과정으로 이해되고 있다. 노울즈(Knowles)의 안드라고지, 크로스(Cross)의 성인학습자 특성 모형, 맥클루스키(McClusky)의 마아진 이론, 자비스(Jarvis)의 학습과정론 등이 대표적이다.

노울즈의 안드라고지는 성인의 자기주도성과 경험을 핵심 자원으로 보며, 성인은 학습의 주체로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참여한다고 강조한다. 크로스는 개인 특성과 상황 요인을 중심으로 성인학습을 설명하며, 성인의 학습은 연령과 사회적 맥락에 따라 달라진다고 보았다.

맥클루스키의 마아진 이론은 삶의 ‘부담(load)’과 ‘힘(power)’의 균형 속에서 학습이 이루어진다고 설명한다. 즉, 성인은 변화와 역할 전환 속에서 자신이 감당할 수 있는 여유를 확보할 때 학습이 촉진된다. 자비스는 경험이 개인적 차원을 넘어 사회적 관계 속에서 형성된다고 보며, 학습은 인간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산물이라고 주장했다.

이러한 이론들은 필라테스와 같은 건강교육 현장에도 적용된다. 성인 수강자는 자신의 신체 경험을 기반으로 학습하며, 사회적 관계 속에서 성장한다. 경험의 공유와 반성이 곧 새로운 학습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세종=리브베럴포스트 │ 김기태 기자

회신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