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학습 이론 ‘안드라고지(Andragogy)’가 성인 대상 건강·피트니스 교육 프로그램 설계의 핵심 원리로 주목받고 있다. 안드라고지는 아동 대상 교수 중심 ‘페다고지’와 달리, 성인의 자기주도성·경험·문제해결 지향 등을 전제로 한 학습 접근이다.
말콤 놀즈(Malcolm Knowles)의 성인학습자 가정을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자아개념: 의존에서 자기주도적 특성으로 변화
△경험: 학습 자원으로 축적
△학습 준비도: 사회적 역할 과제에 기반
△학습 지향성: 교과 중심에서 실제 문제 해결 중심으로 전환
△학습 동기: 외적 요인보다 내적 동기 비중.
수업 운영 측면에서는 ‘교사는 주도자가 아니라 지원자’, ‘동료 간 상호학습’, ‘창의적 사고를 배제하는 권위적 시험·공식은 부적절’ 등이 제안된다. 이는 성인 학습자의 필요와 관심에 기반해 학습자가 스스로 상황에 대응하도록 돕는 방향과 맞닿아 있다.
국제 연구도 이 같은 흐름을 뒷받침한다. 2024년 의생명과학 분야 팀 기반 교육 연구는 “안드라고지는 성인 학습 패턴을 이해하기 위한 이론적 틀”임을 재확인했다. 또한 여러 교육기관은 성인학습 원리를 ‘학습 필요의 인지, 경험 기반 학습, 즉시 적용 가능성, 문제 중심성’ 등으로 정리해 현장 적용을 안내한다.
현장 적용 시에는 ①학습 목표·이유의 명확화(‘왜 배우는가’) ②경험 공유·실습 강화 ③업무·생활 문제 해결 과제 설계 ④자기평가·피드백 구조 도입 등이 핵심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이는 유네스코가 제시한 ‘교수자 중심에서 학습자 중심으로’의 전환과도 부합한다.
김기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