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기 적응이론과 인생전환기, 사회적 역할 변화로 설명

0
31
이미지 : AI 제작

성인의 삶은 끊임없는 적응과 전환의 연속이다. 베일란트의 적응이론, 역할이론, 가족생활주기 이론 등은 성인이 사회적 맥락 속에서 어떻게 적응하며 전환기를 맞이하는지를 보여준다.

베일란트는 하버드 종단연구(Grant Study)를 통해 성인의 적응 기제를 분석했다. 그는 성숙한 방어기제가 현실 왜곡을 최소화하고 어려움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게 한다고 보았다. 이는 성인이 삶의 위기와 스트레스 상황에서 심리적 건강을 유지하는 핵심 요소다.

역할이론은 성인의 삶을 ‘역할’ 개념으로 설명한다. 직업인, 부모, 배우자 등 다양한 역할은 연령과 상황에 따라 변하며, 이 과정에서 역할갈등이나 역할긴장이 발생한다. 이는 성인의 학습과 성장, 사회적 적응 과정과 밀접하다.

듀발의 가족생활주기 이론은 가정 내에서의 역할 변화를 체계적으로 설명했다. 결혼, 자녀 양육, 자녀 독립, 은퇴 등은 모두 가족 내 역할 전환과 연결된다. 조지와 카스피·엘더의 연구 역시 인생주기 전환을 사회적·역사적 맥락에서 해석하며, 모든 성인이 동일한 순서로 역할을 수행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성인의 삶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개인 발달뿐 아니라 사회적 역할과 관계망의 변화까지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말한다. 실제로 필라테스와 같은 그룹 운동은 성인이 사회적 관계 속에서 새로운 역할을 탐색하고, 삶의 전환기를 긍정적으로 수용하는 학습 기제로 작용할 수 있다.

세종=리브베럴포스트 │ 김기태 기자

회신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